이용약관 보기
개인정보 보기

행정학질문게시판

글 정보
제  목 기출 389p 3번
등록일 2025-04-15 11:10:52 조회수 65

"(ㄱ)는 독립변수인 정책수단과 함께 종속변수인 정책효과를 가져오는 요인으로 정책수단과 정책효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과대 또는 과소 평가하며"

 

에서 혼란변수외에 조절변수로 볼 수 있나요?

제시문의 과대 또는 과소부분을 

조절변수의 특징인 두 변수간 관계의 강화 또는 약화시키는 것과 동일하게 이해했습니다 

 

조절변수로 보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?

 

글 정보
이전글 올인원 746
다음글 All 바른 기출문제 선행정학 193p ,18번

합격생조교25 (25-04-15 11:31)
안녕하세요. 카스파 합격생조교25입니다.

해당 선지는 조절변수가 아닌 혼란변수로 보아야 합니다.
같은 질문에 대한 교수님의 답변을 아래에 첨부해드립니다.

혼란변수와 조절변수는 비슷한데 좀 다릅니다.
혼란변수는 원인변수와 결과변수 둘 다에 직접 영향을 주어 인과관계를 혼란시키거나  ‘왜곡’시키는 변수이고,
조절변수는 두 변수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두 변수 간 인과관계의 조건이나 강도를 바꾸는 변수입니다.

예시로 이해하기

① 혼란변수 예
관찰: 아이스크림 판매량이 증가할수록 익사 사고가 증가
잘못된 해석: 아이스크림이 익사를 유발?
혼란변수: 기온(여름)
→ 기온이 올라가면 아이스크림도 많이 팔리고, 사람들도 물가에 많이 가니까 익사도 증가함

② 조절변수 예
관찰: 스트레스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생각보다 미미
잘못된 해석 : 스트레스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?
조절변수: 사회적 지지(social support)나 자존감
사회적 지지가 높거나 자존감이 강한 사람은 스트레스를 받아도 건강에 큰 영향이 없음 -> 인과관계(강도)가 약화됨

감사합니다.